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Lab Template 만들기
    잡동사니 2021. 4. 11. 11:45

    주의!

    ▶ commit 할 때 master로 commit 할 것!

    디렉토리명은 정해진 이름으로 작성

     

    1단계 .gitlab에 템플릿 디렉토리 및 md 파일 생성하기

    • 본인의 repository root 경로에 .gitlab 디렉토리를 생성
    • .gitlab/issue_templates/ 내부 md 파일은 모두 issue 템플릿으로 활용된다.
    • .gitlab/merge_request_templates/ 내부 md 파일은 mr 템플릿으로 활용된다.

     

    2단계 템플릿 파일(md)을 작성한다.

    • 본인의 팀이나 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필요한 내용을 모두 취합한 후 적절하게 작성

     

    예시

    feature_request.md

    # Feature Request
    - Part
      - [ ] FE
      - [ ] BE
      - [ ] Data Preprocessing
    - 기능 상세 설명
      - 기능에서 어떤 부분이 구현되어야 하는 지 설명해주세요
    - Deadline
      - 마감 기한을 설정해주세요

    default.md

    ## 어떤 이유로 MR를 하셨나요?
    - [ ] feature 병합(feature issue #를 남겨주세요)
    - [ ] 버그 수정(아래에 issue #를 남겨주세요)
    - [ ] 코드 개선
    - [ ] 기타(아래에 자세한 내용 기입해주세요)
    
    ## 스크린샷 및 세부 내용 - 왜 해당 MR이 필요한지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
    - 세부사항을 항목으로 설명해주세요
    
    ## MR하기 전에 확인해주세요
    - [ ] local code init 검사를 진행하셨나요?
    - [ ] loca ci test 를 진행하셨나요 ?
    
    ## relavant issue number
    - 관련된 이슈 넘버가 있으면 이곳에 기입해주세요
    

     

    3단계 main branch에 push 후, 템플릿을 적용해 issue 또는 mr을 작성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